ㄴ+ㄹ > 유음화 한라산[할라산] 난로[날로] 신라[실라] 설날[설랄]
ㄴ+ㄹ > 비음화 의견란[의견난] 입원료[이붠뇨] 상견례[상견녜] 생산량[생산냥] 결단력[결딴녁] 횡단로[횡단노]
구개음화 : 선행하는 음절의 끝소리 ㄷ, ㅌ이 형식형태소 ㅣ를 만나서 ㅈ, ㅊ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
끝이다[끄치다] 끝+이다(형식형태소) =>구개음화가 일어남 끄티다(연음현상) > 끄치다(구개음화)
끝인사[끄딘사] 끝+인사(실질형태소) 끋인사(평파열음화) > 끄딘사(연음현상) =>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음
밭이랑
받니랑(ㄴ첨가) 반니랑(비음화)
어간의 받침 ㄴ, ㅁ + 어미 ㄱㄷㅂㅅㅈ (동사, 형용사) 신고[신고] 신고[신꼬], 신다[신따], 신지[신찌] 담고[담꼬], 담다[담따], 담지[담찌] 안다 know >> 알다 알-+ -ㄴ다 > 안다 갈다 > 간다 -hug [안따] -know [안다]??
ㄹ
ㄱㄴㄷㄹㅁㅂㅇ ㄱㄷㅂ: 100% ㄴㅁ: 어간일 때 ㄹ: 한자어, 관형사형 어미 한 자 한 자 읽었다. 한자[한짜] 신고[신고] >> 수의적 현상[현상]
싫다[실타] 싫지[실치] 않다[안타] 않지[안치] 않고[안코] 낳다[나타] 낳고[나코]
낳아서[나아서] 낳았니[나안니?] 싫어[시러]